본문 바로가기
교육

2025학년도 대입 입시요강 총정리 (수능, 정시, 수시)

by 블랙카이거 2025. 9. 21.
반응형

대학교 건물사진

2025학년도 대입은 기존의 큰 틀은 유지되지만, 수능 과목 반영 비율과 대학별 전형 세부 방식에서 변화가 있습니다. 수험생과 학부모는 수능, 정시, 수시 각각의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고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학년도 입시의 주요 요강을 간략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5 수능 주요 특징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국어, 수학, 영어, 탐구,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으로 구성되며,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문제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 국어·수학: 공통+선택 구조 유지. 국어는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선택. 수학은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택1.
  • 영어: 절대평가, 1등급 비율은 예년과 비슷할 전망.
  • 탐구: 사회/과학탐구 2과목 선택 가능, 대학별 반영 다름.
  • 한국사: 필수 응시 과목, 최소 3등급 이상 필요.

즉, 2025 수능은 선택 과목에 따라 합격 가능성이 달라지므로 본인의 강점을 살릴 전략적 선택이 필수입니다.

2025 수시 전형

수시는 전체 모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전형 방식은 학생부 교과, 학생부 종합, 논술, 실기·특기자 전형 등이며, 대학마다 비중이 다릅니다.

  • 학생부 교과 전형: 내신 성적 중심, 지방 국립대와 중위권 대학에서 비중 큼.
  • 학생부 종합 전형: 교과+비교과 종합 평가, 활동 경험이 많은 학생 유리.
  • 논술 전형: 일부 대학 유지, 수능 최저 충족 필요.
  • 실기 전형: 예체능 계열, 실기 비중 큼.

수시 합격 시 정시 응시 불가이므로, 원서 6회를 전략적으로 분배해야 합니다.

2025 정시 전형

정시는 수능 성적 위주이며, 일부 대학은 수능 100%, 일부는 학생부를 소폭 반영합니다.

  • 상위권 대학: 국어·수학 비중이 크고 탐구 반영 방식은 대학별 상이.
  • 중위권 대학: 수능+내신 반영.
  • 정시 확장 추세: 최근 확대 경향 지속, 재수생에게 기회.

정시는 대학별 반영비율과 환산 방식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학년도 입시는 수시와 정시 모두 큰 틀은 유지되지만, 대학별 세부 반영 방식이 합격의 관건이 됩니다. 내신과 활동 경험이 탄탄하다면 수시를, 수능 성적 자신감이 있다면 정시를 중심으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무엇보다 두 전형을 병행하며 끝까지 준비하는 것이 합격의 핵심입니다.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시 vs 정시 2025 입시 비교 (장단점, 유불리, 전략)  (2) 2025.09.20